서울교통공사가 김상범 사장 취임을 계기로 서울지하철 자동운전시스템 도입을 서두를까?

해마다 적자를 내는 서울지하철의 손실을 메우기 위해 자동운전시스템이 대안으로 꼽히고 있지만 노조의 반발이 거세 김 사장은 이를 설득하는 일이 필요하다. 
 
김상범, 서울교통공사 맡아 노조 상대로 자동운전 도입 설득할까

▲ 김상범 서울교통공사 사장.


3일 교통업계에 따르면 서울시가 최근 서울교통공사에 지하철 자동운전 기술을 두고 지속적으로 검토하라는 뜻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는 “당장 서울지하철에 자동화를 도입한다기보다도 장기적으로 기술 고도화와 기술 수출 등을 고려해 꾸준히 자동운전 기술을 검토하라는 내용을 전달받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교통공사는 2018년 지하철 8호선에 전자동운전(DTO)시스템을 도입하려다 노조 반대에 부딪혀 중단했다. 

전자동운전은 지하철 무인운전으로 나아가기 위한 전 단계로 평가받는다. 출발, 정지, 출입문 개폐 등 운전 전체는 자동화하지만 무인운전과 달리 기관사 1명이 탑승해 비상사태에 대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민주노총 산하 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은 2018년 6월11일부터 103일 동안 천막농성을 벌이며 ‘무인화 철회’를 주장했다. 윤병범 서울교통공사 노조위원장이 33일 동안 단식투쟁을 하기도 했다. 

노조는 지하철에 자동운전시스템을 도입하는 방향이 ‘인력감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노조는 2013년에 발표된 맥킨지 보고서의 ‘무인운전은 승무원이 필요 없으므로 막대한 인건비 절감이 가능하다’는 내용을 근거로 “고용인원을 줄이기 위해 지하철 자동화도입이 추진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또 사람이 없이 온전히 자동화시스템으로만 움직인다면 이용객들의 안전을 보장하기 어렵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서울교통공사는 해마다 순손실을 내고 있어 비용을 줄이기 위해 자동화와 무인화를 지속적으로 검토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교통공사가 홈페이지에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가 합병돼 세워진 서울교통공사는 2017년에는 순손실 5254억 원, 2018년에는 순손실 5389억 원을 냈다. 

2018년 매출과 영업이익은 2017년보다 각각 1104억 원(5.4%), 192억 원(0.97%) 늘었지만 총비용이 1239억 원(2.8%) 증가해 순손실은 135억 원(2.57%) 확대됐다. 

부채도 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의 2017년 말 부채는 4조6048억 원이었지만 2018년 말에는 부채가 5조1201억 원으로 1082억 원 늘었다. 부채비율도 2017년 말 54%에서 2018년 말에는 63%로 9%포인트 증가했다. 

지하철 자동화가 도입되면 기관사들의 업무 부담을 줄일 수 있어 근무시간을 두고 서울교통공사와 노조가 빚은 갈등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

서울교통공사와 노조는 올해 1월 근무시간을 하루 4시간30분에서 4시간42분으로 12분 늘리는 것을 두고 갈등을 빚었다. 

노조는 파업을 예고하며 강경하게 대응했고 서울교통공사가 노조의 주장을 받아들여 운영시간 변경 조치를 잠정 중단하기로 하면서 마무리되기는 했다. 

국내에서 지하철 무인화 사례는 점차 늘어나고 있다. 신분당선, 용인 경전철, 의정부 경전철, 우이신설경전철 등에서 무인운전이 일부 도입됐다.

다만 기관사 1명이 안전요원 자격을 갖추고 지하철에 탑승해 만일의 사태를 대비하고 있다. 

부산에서도 도시철도 4호선과 부산김해 경전철은 무인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해외에서도 프랑스 파리와 싱가포르 등에서 무인지하철이 제한적으로 도입돼 운영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는 “지하철 자동화는 인력 문제와 얽혀 민감한 문제"라며 "장기적으로 다양한 방향에서 생각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지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