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채용해선 안될 이 어떻게 거를까, 커리어케어 인성검사가 답

▲ 김용성 커리어케어 인재평가센터장.

기업의 채용에서 수시채용과 블라인드 채용이 늘어나는 것과 함께 '인성검사'를 강화하는 움직임이 확대되고 있다.

인성검사에 기업의 관심이 급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김용성 커리어케어 인재평가센터장은 19일 비즈니스포스트와 인터뷰에서 “한마디로 기업의 채용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 인성검사는 기업의 인재상에 맞는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것 아닌가?

“채용에서 인성검사는 그 반대다. ‘우수한 인성’을 지닌 사람을 가려내는 것보다는 ‘들어와선 안 될’사람을 가려내는 것이 목적이다.”

김 센터장에 따르면 심리측정 분야의 역사적 관점에서 볼 때 채용형 인성검사가 도입된 목적은 ‘부정적 행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은 사람들을 사전에 가려낼 수 없을까?’라는 의문에서 시작했다.

- ‘들어와선 안 될’사람들이란 어떤 사람들을 말하는가?

“부정적 행동을 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조직에 해를 입는 행동과 개인적 공격행동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조직에 해를 입히는 행동은 회사의 좋지 않은 소문을 퍼뜨리는 행위를 비롯해 잦은 지각이나 조퇴를 반복하는 등 경미한 위반행동에서부터 장비 파괴나 기물 절도, 기밀 판매 등 범죄행위까지 이른다.

개인 차원의 부정적 행동은 동료의 뒷담화나 비판 등 비교적 가벼운 형태에서 성희롱, 성폭행, 폭언, 절도 등 위법수준에 이르는 공격행동을 말한다.

김 센터장은 부정적 특성이 강한 사람들은 조직이나 회사의 ‘성과’에 해를 입힐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사전에 가려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인성검사를 계속 해왔던 기업에서 여전히 ‘조직 부적응자’를 가려내는 것에 고민이 큰 것은 왜 그런가?

“결과의 신뢰성 문제 때문이다. 기존 검사들도 공격성향을 측정하고 있지만 자기보고식 검사방법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수검자들이 거짓응답을 하면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

김 센터장은 기존 검사의 측정문항들이 대부분 공격성과 관련해 겉으로 나타나는 행동특성을 중심으로 구성돼 있기 때문에 수검자들이 검사문항을 보면 무엇을 측정하려는 문항인지 짐작하고 거짓으로 응답해 오염된 검사결과를 얻을 수밖에 없다고 봤다.

- 커리어케어의 인성검사(CCPT)는 ‘거짓응답’을 막을 수 있나?

“그렇다. 인성검사의 영역에는 자기보고식 검사문항을 사용해 측정 가능한 영역과 그렇지 못한 영역이 있다. 선발이나 평가목적의 인성검사는 응답자가 평가기관이 요구하는 ‘바람직한 방향’으로 응답을 왜곡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를 보완할 대책이 필요했고 CCPT를 통해 보완할 수 있게 됐다.”

- 구체적으로 어떤 방법인가?

“CCPT는 조직의 성과를 저해하는 ‘수동공격성’ 측정을 위해 기존의 자기보고형 검사문항을 버리고 논리추론형 검사문항을 채택했다.”

논리추론형 검사방법은 심리측정 분야에서 내현적 성격 특성 측정을 위해 개발된 최신기법이다. 내현적 성격특성이란 심리학에서 쓰이는 말로 겉으로 드러나는 외현적 성격특성과 다르게 밖으로 잘 표출되지 않는 성격특성을 말한다. 

- 공격적 성향을 지닌 사람은 어떻게든 스스로를 포장하려고 하지 않을까? 

“공격적 성향을 지닌 사람들은 자신만의 합리화 방어기제를 활용해 공격성향을 타당한 것으로 믿고 있다. 따라서 공격행동을 놓고 자신의 관점과 객관적 관점이 달라지고 스스로가 공격적이라는 인식을 하지 못한다. CCPT는 이런 차이를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사람들은 스트레스나 불안한 상황에 처하는 것을 불편해하고 피하려 할 때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욕망을 무의식적으로 조절하거나 왜곡하게 된다. 이런 메커니즘을 방어기제라고 말한다.

끝으로 김용성 센터장은 “커리어케어의 인성검사(CCPT)는 자기보고형 인성검사의 한계를 극복한 것으로 채용에 최적화한 검사”라며 “기존의 어떤 인성검사보다 기업의 채용 현장에서 유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CCPT에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커리어케어 인재평가센터(02-2286-3840)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남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