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대형 조선3사가 일본 조선사들의 선박 공동연구 가능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조선3사는 선박 설계능력과 건조기술을 앞세워 LNG(액화천연가스)운반선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누리고 있는데 일본 조선사들이 LNG운반선 관련 기술력을 키워 시장에 진입한다면 경쟁이 불가피해진다.
 
조선3사, 일본 조선사의 LNG운반선 설계 동맹 움직임 예의주시

▲ (왼쪽부터)남준우 삼성중공업 대표이사 사장, 가삼현 현대중공업 공동대표이사 사장, 이성근 대우조선해양 대표이사 사장.


15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일본 조선사들이 선박 건조기술을 넘어 선박 설계기술을 강화하기 위한 공동연구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일본 최대 조선사이자 수주잔량 기준 글로벌 3위 조선사인 이마바리조선이 선박설계 동맹을 촉구하고 있다.

히가키 유키토 이마바리조선 대표이사 사장은 7월26일 기자회견에서 “한국과 중국에서 대형 조선사들의 통합이 진행되고 있다”며 “일본 조선사들은 선박 디자인을 공유하기 위한 동맹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선업에서 선박 디자인이란 곧 선박 설계능력인데 히가키 사장은 LNG운반선을 염두에 두고 선박설계 동맹을 제안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일본 조선사들이 상선부문에서 설계를 확보하지 못한 선박은 멤브레인형 LNG운반선뿐이다.

멤브레인형 LNG운반선은 화물창과 선체가 일체화된 형태의 LNG운반선이다. 일본 조선사들이 건조하는 모스형(선체에 반구형 화물창을 얹은 형태) LNG운반선보다 운임 효율이 높아 발주처들이 선호한다.

카타르에서 발주를 앞둔 LNG운반선 40척도 발주처인 카타르가스가 멤브레인형 LNG운반선으로 건조해달라는 조건을 내걸었다. 그러자 이마바리조선, 가와사키중공업, 미쓰비시중공업 등 일본 조선사들과 중국 조선사들이 입찰을 포기해 한국의 조선3사만이 수주전에 남았다.

일본 조선업계가 카타르 수주전에서 설계능력의 격차를 절감한 만큼 LNG운반선 수주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라도 설계 동맹이 결성될 가능성은 높다.

이는 멤브레인형 LNG운반선 건조능력을 바탕으로 LNG운반선 수주를 거의 독점하고 있는 조선3사가 일본 조선사의 도전에 직면하게 된다는 뜻이기도 하다.

2019년 상반기 기준으로 글로벌에서 17만 CBM(입방세제곱미터)급 초대형 LNG운반선은 모두 24척 발주됐는데 그 가운데 23척을 조선3사가 수주했다. 나머지 1척은 중국의 후동중화조선이 수주했고 일본 조선사는 단 1척도 수주하지 못했다.

한국과 일본 조선업의 선박 건조기술 자체는 격차가 크지 않다. 선박 설계능력이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일 뿐이다.

산업은행 산업기술리서치센터가 내놓은 ‘한중일 조선산업 경쟁력 비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조선업을 100점으로 놓고 볼 때 일본은 연구개발에서 97점, 연비에서 99점, 고장률에서 101점으로 기술적 측면에서는 비슷하거나 우위에 있다.

그러나 설계 유연성은 93점으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일본 조선사들이 선박 설계능력을 키우기 위한 동맹을 맺고자 하는 것은 이 격차를 좁히기 위한 것이다.

일본 조선업계의 설계 공동연구 움직임이 구체화되면 조선3사는 치열한 수주경쟁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수주 경쟁의 심화는 곧 선박 건조가격을 낮추는 요인이 된다는 점에서도 조선3사에게는 달갑지 않은 일이다.

조선업은 산업 특성상 수익성을 끌어올릴 방법이 많지 않다. 같은 선박을 잇따라 건조해 설계비용과 라인 조정비용을 최대한 낮추고 매출을 늘려 고정비 부담을 최소화하는 것 정도다.

한국조선해양이 올해 2분기 영업이익 554억 원을 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흑자전환한 것과 삼성중공업이 영업손실 563억 원을 내 적자폭을 44% 줄인 것은 2017년 말부터 고부가선박인 LNG운반선을 다량 수주해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실현한 데 따른 것이다.

앞으로 카타르, 모잠비크, 러시아 등에서 발주가 사실상 확정된 LNG운반선 물량만 100척에 이른다.

조선3사는 LNG운반선 관련 기술을 바탕으로 LNG운반선 수주시장에서 기술적 우위를 유지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LNG운반선의 운송효율을 높이는 데 특화된 스마트선박 솔루션 ISS(INTEGRICT Smartship Solution)을 LNG운반선에 탑재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프랑스 GTT가 독점하고 있는 화물창 기술을 내재화하는데 힘쓰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의 솔리더스 화물창은 기화율이 0.049%로 0.007%인 GTT의 마크5 화물창보다 효율적이다.

삼성중공업은 2020년 12월 완공을 목표로 경남 거제조선소에 ‘조선·해양 LNG 통합 실증설비’를 짓고 있다.

조선업계 한 관계자는 “일본과 조선3사의 설계능력 격차가 좁혀진다면 앞으로 LNG운반선 수주시장에서 조선3사의 점유율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LNG운반선 관련 기술력을 끌어올려 선박 건조기술의 격차를 벌리는 것이 미래에도 조선3사가 LNG운반선시장을 독점하며 수익성을 끌어올릴 수 있는 길”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