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갑, 한국전력의 한전공대 설립 '소극적' 태도로 불확실성 더 키워

김종갑(왼쪽에서 네번째) 한국전력공사 사장이 4월29일 전남 도청에서 전남도, 나주시 등 지자체장들과 한전공대 설립 이행협약을 맺고 있다.

김종갑 한국전력공사 사장의 한전공대 설립 의지는 어느 정도일까.

한전공대 설립에 불확실성이 가시지 않는 데에는 김 사장의 소극적 태도가 한몫하고 있다는 시각이 많다.

대통령 공약에 따라 김 사장이 한전공대 설립을 추진하고는 있으나 최초 입안자였던 조환익 전 사장만큼 강한 애착이 없다는 것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한전공대 설립 마스터플랜 수립이 지연되면서 한전의 의지 부족으로 한전공대가 2022년에 개교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말이 나온다.

한국전력은 2018년 1월 한전공대 설립 마스터플랜 용역을 A.T.커니에 맡겼다. 계획대로라면 12월 최종보고회가 열렸어야 하지만 반년째 늦어지고 있다. 

2022년 3월 개교일정을 고려하면 6월까지는 마스터플랜이 나오고 2020년 착공이 이뤄져야 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목표 일정을 맞추려면 이미 빠듯하다.

한전공대 설립을 위한 여건은 빠르게 조성되고 있다. 부영그룹의 부지제공, 전남도와 나주시의 전담조직 구성과 지원규모 확정, 예비타당성 조사 제외 등 한전공대 설립에 속도가 붙었다.

남은 것은 한국전력의 내부적 의사결정뿐이다. 설립주체인 한국전력의 지원 규모와 대학 운영방안 등 마스터플랜을 통해 한전공대 설립의 분명한 청사진이 이미 나왔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해 지자체의 지원책과 엇박자가 나고있다.

이 때문에 김종갑 사장의 한전공대 설립 의지에 붙어있는 의문부호도 사라지지 않는다. 김 사장이 특별법 제정 등 한전공대 설립에 정부 차원의 확고한 지원책이 나오기만을 기다리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김종갑 사장은 취임 후부터 한전공대 설립에 다소 부정적인 듯한 태도를 보여왔다.

한국전력은 2018년 7월 송갑석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정책간담회에서 한전공대 부지 규모를 150만㎡에서 40만㎡로 대폭 축소하고 설립시기를 2022년에서 2025년으로 늦출 수 있다고 말했다.

이를 놓고 사장 교체에 따라 한국전력의 한전공대 설립 의지에 변화가 생겼다고 해석하는 의견이 많았다. 송갑석 의원도 “한국전력의 공대 설립 의지가 약하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결국 9월 중간 용역보고서에서 한국전력은 한전공대를 부지 120㎡, 학생 1천 명 규모의 ‘강소대학’으로 설립하겠다고 발표했다. 특히 한국전력은 범정부 차원과 지자체의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한전공대는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공약으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은 김종갑 사장의 전임자인 조환익 전 한전 사장이 의지를 지니고 추진해온 사업이다.

2015년 당시 조 사장은 나주에 인도국립공과대학과 같은 명문대학을 세우겠다는 뜻을 밝혔다. 에너지 전문인재를 키워 에너지 기업들이 모여드는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구상이다.

이후 조 사장은 당시 이낙연 전남지사와 긴밀한 협의를 통해 아이디어를 구체화해 나갔고 대선 과정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지역 공약으로 채택이 됐다. 

조 사장은 정부 출범 뒤 이낙연 국무총리 후보 청문회에도 출석해 한전공대 관련 증언을 하기도 했으며 이임식에서 한전공대 설립을 당부하는 등 끝까지 애정을 보였다.

김종갑 사장으로서는 대통령 공약사항이라고는 하지만 전임자의 역점사업을 넘겨받아 마무리해야 하는 셈이니 아무래도 애정이 깊지 않을 수 있다. 김 사장 취임 후 마스터플랜 용역에서 한전공대 규모가 대폭 축소된 이유도 여기에 있을 것이다.

더욱이 한국전력의 상황도 조 전 사장이 한전공대를 추진하던 시절처럼 좋지가 않다. 2015년과 2016년 한국전력은 영업이익 10조를 돌파하며 2년 연속 사상 최대 실적을 냈다. 그러나 2017년 영업이익은 5조 원에도 미치지 못하며 반토막이 났고 2018년에는 적자로 전환했다.

이러다 보니 한전공대를 향한 여론도 좋지가 않다. 일각에서 한전공대 설립을 백지화해야 한다는 의견까지 나온다. 실적 악화로 눈치를 봐야 하는 김종갑 사장이 더욱 몸을 사리게 되는 까닭이다. 

한국전력 소액주주들은 5월20일 한전 서울 강남지사 앞에서 집회를 열고 김종갑 사장의 부실경영을 지적하면서 한전공대 설립을 문제로 삼았다.

장병천 한전 소액주주 행동 대표는 한전공대를 놓고 “국정 농단을 넘어 국정 깽판”이라며 “주식회사 돈 5천 억 원을 정부 쌈짓돈처럼 빼내 대학을 설립하는 것은 자본주의와 시장경제 원칙을 깡그리 무시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국전력은 한전공대를 백지화하는 일은 없다면서도 여전히 설립비용 등은 용역결과가 나와 봐야 한다는 유보적 태도를 보인다. 결국 정부와 지자체에게 최대한 비용을 분담하고자 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이 와중에 한국전력은 한전공대에서 ‘한전’을 뺀 정식 명칭을 제정할 것으로 보인다. 한전 대신 국가명을 넣은 한국에너지기후대학교, 한국에너지대학교, 한국에너지종합대학교 등의 이름이 거론되고 있다.

한국전력이 전면에 나서는 부담을 덜면서 정부를 앞세워 한전공대 설립과 운영에서 한국전력의 책임을 가급적 최소화하려는 시도가 아니냐는 말이 나온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